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ex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금융 상품 이야기

ETF와 ETN, 뭐가 다를까?

by 쏠아빠 2025. 4. 9.
728x90
반응형
SMALL

 

 

   오늘은 경제 한 스푼!

 "ETF (상장지수펀드)"와 "ETN(상장지수채권)"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두 상품 모두 "지수를 따라가는 금융상품"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실제 구조나 리스크, 세금 문제 등에서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혼동하기 쉬운 ETF와 ETN,  개념부터 비교, 투자 시 주의점까지 명확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ETF(Exchange Traded Fund)?

ETF는 말 그대로 거래소에 상장된 지수 펀드입니다.
예를 들어, KODEX 200 ETF코스피 200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입니다. ETF에 투자하면 간접적으로 코스피 200구성 종목들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펀드지만 주식처럼 실시간 거래가 가능
  • 여러 종목에 한 번에 분산 투자 가능
  • 운용사는 실제 주식이나 자산을 보유하며 운용

2. ETN(Exchange Traded Note)?

ETN지수를 따르되, 직접 자산에 투자하지 않는 상품입니다.
, 증권사가 약속한 채권 형식으로,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보장" 또는 "추적"합니다.

  • 실제로 자산을 보유하지 않음
  • 발행 증권사의 신용이 중요 (디폴트 리스크 존재)
  • 주로 파생상품이나 원자재 지수에 연계되어 있음

3. ETF vs ETN 비교표

항목 ETF ETN
정의 상장지수펀드 (실물자산 보유) 상장지수채권 (증권사 신용 기반)
운용 방식 자산운용사가 직접 기초자산 매매 증권사가 자체 수익률을 추적
신용위험(디폴트) 없음 (기초자산이 실물로 존재) 있음 (증권사가 부도 나면 손실 가능)
추적 방식 실물 매매 통한 수익률 추종 장부상 수익률 계산으로 수익률 추종
세금 매매차익 비과세 (기초자산 주식이면) 매매차익에 기타소득세 15.4% 부과
유동성 보통 ETN보다 거래량 많음 상대적으로 유동성 낮음
레버리지/인버스 상품 일부 제공 (레버리지/인버스 ETF) 다양한 테마에 제공 가능 (특히 원자재/파생)
투자 예시 KODEX 200, TIGER 미국S&P500 신한 레버리지 은 선물 ETN, 삼성 인버스 천연가스 ETN

4. 투자 시 유의사항

  • ETF는 펀드지만 실시간 매매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주식처럼 매수/매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장 마감 직전에는 가격 왜곡이 있을 수 있어 거래 타이밍 주의가 필요합니다.
  • ETN은 증권사의 신용에 의존하기 때문에, 만약 발행사가 부도가 나면 투자금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이를 **신용위험(credit risk)**이라 부릅니다.
  • 세금 측면에서 ETF가 유리합니다. ETF는 기본적으로 국내 주식형이면 매매차익 비과세입니다. 반면 ETN은 무조건 15.4%의 기타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5. ETF는 이런 분께 추천

  • 안정적인 분산 투자를 원하는 분
  •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매매하고 싶은 분
  • 세금 부담이 적은 상품을 선호하는 분

6. ETN은 이런 분께 추천

  • 원자재, 변동성, 외환, VIX 등 특수 테마에 투자하고 싶은 분
  • ETF로 접근 불가능한 지수를 추종하고 싶은 분
  • 레버리지/인버스 등 고위험 고수익 상품에 관심 있는 분

7. 마무리: 내 투자 스타일에 맞는 선택이 중요

ETF ETN은 둘 다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 상품이지만, 그 구조와 위험, 과세 방식에서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ETF
실제 자산을 가진 펀드라면, ETN증권사가 약속한 채권이라는 점만 잘 이해해도 선택이 훨씬 쉬워집니다.

ETF는 분산 투자와 안정성, ETN은 특화 테마와 다양성에 강점이 있습니다.
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