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SP (403870.KQ) – 세부 기업분석 & 2025년 하반기 주가전망 class="layout-aside-right list-type-tex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주식 종목 소개

HPSP (403870.KQ) – 세부 기업분석 & 2025년 하반기 주가전망

by 쏠아빠 2025. 6. 14.
728x90
반응형

HPSP Homepage image.

 

1. HPSP란 어떤 회사인가?

  • 업종: 반도체 장비·소재, 특히 고압 수소 어닐링(Hydrogen Annealing) 장비 전문 제작 기업
  • 위치: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 2005년 설립
  • 주요 제품: GENI‑SYS, GENI‑SE 등 고압 열처리 및 산화 시스템, AS (설치·기술지원 포함) 제공

2. 재무 및 지표 요약

    • 시가총액: 약 2.38조 KRW
    • 52주 주가 범위: 약 21,150 KRW ~ 44,950 KRW
    • 배당수익률: 2.17% ~ 2.7% 수준
    • 애널리스트 평가: ‘Strong Buy’ 컨센서스, 평균 목표가 34,000 KRW (+23%)

2022~2023년 매출 및 순이익:

    • 매출: 1,590 → 1,795 억 원 (2024 예상 1,814 억 원)
    • 영업이익률: 53% 수준 유지
    • 순이익: 660 → 804 억 원 (2024 예상 862 억 원)

🧭 2025년 하반기 주가 전망

1.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및 호재·악재 요인

  • 평균 목표주가: 34,000 KRW (최저 22,000 / 최고 47,000 KRW) – 현재 주가 대비 약 +23% 상승 잠재력
  • 호재 요인:
    •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른 장비 수요 증가
    • 2025년 예정된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 강력한 현금 흐름 및 자기자본 증가 추세
  • 리스크 요인:
    • 고위험 고압 장비 산업 특성에 따른 경기 민감도
    • 중국·미국 등 주요 고객사의 CAPEX 증가 둔화 가능성
    • Crescendo 주도 매각 연기 사례가 불확실성을 상존

2. 가이던스 기반 실적 추정

  • 매출: 2025년 약 193 B KRW, 2026년 247 B KRW로 증대 전망
  • 순이익 및 FCF: 순이익 및 FCF 모두 2026년 대폭 증가 (전년 대비 20~40%)
  • 밸류에이션:  업종 평균보다 여전히 할인 영역

 

HPSP 3년간 주가 일봉 그래프

3. 주식 실적 & 시장 반응

  • 현재 주가(6/10): 27,700원, 시가총액 약 2조 원, 배당수익률 2.5~2.7%
  • 주가 흐름:
    • 52주 저점 21,150원 / 고점 44,950원
    • 최근 반등 중, 단기적으로 5일 연속 상승세

4. 2025년 하반기 주가전망

  • 펀더멘털 관점
    • 반도체 투자 회복 → 고압 장비 수요 확대 예상
    • 실적 개선 지속, 재무 안정성 감안 시 상반기 내외의 차익 실현 가능성 있음
  • 기술적 조정 가능성
    • RSI 과열 신호, 저항선 27,800원 인접 → 단기 조정 가능성 존재
    • 지지선: 24,000원, 22,550원 → 조정 시 관건 영역
  • 투자 전략 제안
    • 단기적으로 27,700원 구간에서 일부 수익 실현 고려
    • 조정 시 24~25천원 매수 전략 유효
    • 중장기 관점: 목표가는 34,000원 ~ 38,500원 기대

5. 마무리 및 쏠아빠의 생각.

   HPSP의 경우 한국의 ASML이라고 말할 만큼 기술력을 인정받고 상장전 24억 매출에서 빠르게 1500억 이상의 매출 향상을 이루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이익율이 무려 50%가 넘는 다는 것이였다.  이는 경이로운 수치이며 경쟁력이 심한 반도체 장비업체 중에서 핵심업체로 2023년 ~ 2024년 매우 큰 주목을 받은 기업이다.

  그러나, 반도체 침제기로 접어든 이후 주가는 지속 하락하여 고가 대비 50%이상 하락하여 있는 상태이다.  올 상반기까지만 해도  2분기에는 매출 20% 이상, 영업이익이 95% 이상 향상될 것으로 최근 시장의 주목을 받고 거래량이 점차 늘어나며 주가는 하락을 멈추고 상향으로 전환 되었다.

   최근 AI 데이터센터 증가, 온디바이스 AI 수요증가 및 하반기 V9 낸드 전환에 따른 반도체 라인 체인지등에 추가로 반도체 장비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되어서 당분간 호실적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본 글은 매수추천의 글이 아니며, 투자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