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한민국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AI 기술 강국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미국, 중국 등 선도국들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한민국의 AI 기술 수준, 산업 적용 현황, 정부의 정책과 인프라 계획까지 전반적인 실태를 요약해봅니다.
1. 대한민국 AI 기술 수준: 세계와 비교
- 종합 기술 수준:
→ 미국을 100%로 보았을 때 한국은 88.9% (2022년 기준)
→ 중국(92.5%), 유럽(92.4%) 다음으로 세계 4위
→ 2018년 대비 7.3%P 상승, 주요국 중 가장 빠른 성장세 - 분야별 기술 성장:
- 기초단계: 80.5% → 88.0%
- 응용단계: 81.4% → 90.1%
- 사업화단계: 82.8% → 88.6%
2. 산업별 AI 도입 현황
- AI 도입 필요성 인식:
78.4%의 기업이 필요하다고 인식
실제 도입률은 30.6%로 낮은 편 - 업종별 AI 활용률:
- 금융업: 57.1%
- IT서비스: 55.1%
- 제조업: 23.8% (도입률 낮음)
- 기업 규모별 활용률:
- 대기업: 48.8%
- 중소기업: 28.7%
- 보유 기술 분야:
- 시각지능: 30.1%
- 추론 및 지식 표현: 25.1%
- 언어지능: 12.8%
3. 정부 정책 및 인프라 구축
- 서울시 'AI 테크시티' 조성:
→ 양재 AI 혁신지구에 27만㎡ 규모 산업단지 조성
→ 연간 1만 명 인재 양성 목표
→ 5천억 원 펀드 조성 - 공공기관 AI 정보화사업 실태조사:
→ 국가정보원 주도
→ 보안·윤리 문제 대응 위한 체계 정비 중
4. 대한민국 AI 기술의 강점 vs 약점
(1) 강점
- 정부의 강한 드라이브 (AI 국가전략, 디지털플랫폼정부 등)
- AI반도체 기술력 (HBM, NPU 등 세계 최고 수준)
- 언어적 특화 (한국어 처리, 감정 분석 우수)
(2) 약점
- GPU 등 핵심 인프라 부족 (엔비디아 의존도 높음)
- 글로벌 생태계 확장 미비
- AI 인재 수급의 한계 (AI 인력 부족 심각)
5. 국내 대표 AI 기업 및 기술력
1) 네이버 (NAVER)
- 하이퍼클로바X: 한국어 특화 초거대 언어모델
- AI Search, Papago 번역기, CLOVA Dubbing 등 다양한 상용화 성공
2) 카카오
- KoGPT 시리즈로 생성형 AI 시장 도전
- 카카오브레인 통해 의료, 이미지 생성 AI 연구 활발
3) 삼성전자
- 반도체 기반 AI 기술 (HBM-PIM, NPU 등)
- 스마트폰 AI 기능 고도화 (갤럭시 AI)
4) LG
- LG AI 연구원 통해 산업 특화 AI 개발
- '엑사원(EXAONE)'이라는 다국어 초거대 모델 공개
6. 결론
- AI 기술 수준은 빠르게 상승 중이지만, 실제 산업 활용률과 글로벌 경쟁력은 더 보완이 필요
- 중소기업 지원 및 산업별 맞춤형 AI 전략 수립 필요
- 글로벌 협력 강화와 AI 인재 양성이 미래 경쟁력의 핵심
- 반도체뿐만 아니라, AI분야 에서도 한국은 Hardware 분야는 초강세이지만, Software 분야는 아직 초보수준을 못 벋어나고 있음은 자명하며, 이부분의 인력 양성에 많은 정부의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참고자료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s://spri.kr/posts/view/23683)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1210139400017)
- 한국무역협회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no=85979&siteId=1)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https://www.iitp.kr/kr/1/knowledge/statisticsView.it?identifier=02-008-240502-000001)
- 서울시청 (https://news.seoul.go.kr/economy/archives/564825)
-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50331000230)
728x90
반응형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동향 - 전기차 시장은 어디로 가고 있나? (22) | 2025.05.19 |
---|---|
최근 미국 주식시장 동향 - 5월 이후 상승 하락 sector는? (16) | 2025.05.19 |
SK그룹 리밸런싱 본격화! 최태원 회장이 선택한 미래 전략은? (14) | 2025.05.13 |
미중 무역협상 이후, 글로벌 공급망은 어디로 가는가? (34) | 2025.05.12 |
최근 환율 급락, 제2의 플라자 합의인가? -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2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