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야기/섹터 공부
AI·미래 전략이 카카오 실적에 어떤 장기적 영향을 줄지 전망하기
쏠아빠
2025. 7. 10. 13:11
728x90
반응형
1. AI·미래 전략의 핵심 방향
- AI 오케스트레이션 전략: 카카오는 자체 AI 모델과 오픈AI 등 글로벌 AI 기술을 결합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추진합니다. 단일 모델 의존도를 낮추고, 다양한 AI 기술을 서비스에 유연하게 적용해 빠른 시장 대응과 혁신을 목표로 합니다.
- AI 서비스 확장: 카카오톡 기반 AI 챗봇 ‘카나나’, AI 검색, AI 기반 쇼핑·지역 정보 서비스 등 생활밀착형 AI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는 카카오톡 이용자의 체류시간을 늘리고, 광고·커머스 등 기존 플랫폼의 수익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장기적 실적에 미칠 영향
긍정적 전망
- 플랫폼 경쟁력 강화: AI와 카카오톡의 결합은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광고·커머스 등 플랫폼 내 수익원 다각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AI 기반 맞춤형 광고, AI 도우미 등은 광고 노출 기회와 전환율을 높여 장기적으로 매출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입니다.
- 신규 수익원 창출: AI 기술을 활용한 신사업(예: AI 비서, AI 검색, AI 커머스 추천 등)이 본격화되면, 카카오톡 외부로도 서비스 확장이 가능해져 장기적으로 새로운 매출원이 될 수 있습니다.
- 시장 반등 기대: 증권가에서는 2025년 1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부터 AI·광고 신제품 효과가 본격화되어 실적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합니다.
우려 및 한계
- 기술 종속성 위험: 글로벌 AI 기업과의 협업에 치중할 경우, 독자적 기술력 확보가 미흡해 장기적으로 경쟁력 약화 및 기술 종속 우려가 제기됩니다.
- 수익화 불확실성: AI 신사업의 구체적인 수익 모델과 출시 일정이 명확하지 않아, 단기적으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기대보다는 우려가 더 크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 콘텐츠 부문 부진: AI 전략이 플랫폼 부문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게임·음악 등 콘텐츠 부문 부진이 계속된다면 전체 실적 개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3. 결론 및 전망
- 장기적 관점에서 카카오의 AI·미래 전략은 플랫폼 경쟁력 강화와 신규 수익원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나, 기술 내재화와 수익화 전략의 구체화가 필수적입니다.
- 단기적 실적 반등은 광고·AI 신제품 효과에 달려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독자적 AI 역량 강화와 글로벌 협업의 균형이 실적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 참고 자료 ]
https://www.sankyung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506982.
https://aimatters.co.kr/news-report/feature-article/17983/3.
https://kntoday.net/주춤한-카카오-반격-카드는-ai와-광고였다/4.
https://www.economidaily.com/view/202502271557473755.
https://www.mk.co.kr/news/it/111487506.
https://www.mk.co.kr/news/it/11148370
728x90
반응형